Android Everywhere: AI로 진화하는 안드로이드 개발

Google I/O 2025에서는 안드로이드 개발 전 과정에 AI를 접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과 도구가 공개됐다. 이번 글에서는 AI Breakfast의 ‘Android Everywhere’ 세션에서 다룬 주요 인사이트를 정리하고, 안드로이드 개발 환경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살펴본다.
vmkmym's avatar
Aug 01, 2025
Android Everywhere: AI로 진화하는 안드로이드 개발

Android Everywhere: AI로 진화하는 안드로이드 개발

Google I/O 2025에서는 안드로이드 개발 전 과정에 AI를 접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과 도구가 공개됐다.
이번 글에서는 AI Breakfast의 ‘Android Everywhere’ 세션에서 다룬 주요 인사이트를 정리하고,
안드로이드 개발 환경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살펴본다.


1. 기획 단계부터 AI가 참여한다

전통적으로 앱 개발의 기획·디자인 단계는 개발자와 디자이너, 기획자가 긴밀히 협력해야 했다.
그러나 Stitch 같은 새로운 툴이 등장하면서,
단순한 텍스트나 이미지 입력만으로 UI 디자인과 코드가 동시에 생성된다.

  • 효과: 디자인 역량이 부족한 개발자도 프로토타입을 손쉽게 구현

  • 활용 예: 기획자가 반복적으로 제작하던 표준 화면을 AI로 빠르게 생성

  • 협업 강화: 디자인·기획·개발자가 같은 툴을 활용해 아이디어를 실시간 검증


2. 코딩 단계의 AI 보조

Gemini in Android Studio는 안드로이드 개발자들이 기다리던 변화다.
이제 AI와 50:50 수준의 코드 협업이 가능하며,
변수명 추천, 레이아웃 대응, 디버깅 등 반복적인 작업을 줄여준다.

특히 안드로이드 개발의 ‘영원한 숙제’라 불리던 영역에서 AI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.

  • 다양한 폼 팩터 대응

  • 오래된 OS 버전부터 최신 버전까지의 호환성 유지

  • Google Play 정책 준수 자동화

이 덕분에 개발자는 더 본질적인 설계와 경험 설계에 집중할 수 있다.


3. 모델 선택과 온디바이스 AI

구글은 이번 I/O에서 다양한 모델 전략을 명확히 했다.

  • Gemini: 거대 범용 모델, 클라우드 기반 API로 사용

  • Gemma: 경량·도메인 특화 모델, 온디바이스·파인튜닝 가능 (1B 모델은 스마트폰에서도 실행 가능)

온디바이스 AI의 장점

  • 개인정보 보호 (데이터가 디바이스 밖으로 나가지 않음)

  • 오프라인 환경에서도 동작

  • 응답 지연 최소화

  • 추가 비용 없음


4. Gemini API와 보안

API 활용은 Gen AI SDK를 권장한다.
이 SDK는 개발·운영 환경을 통합 지원하고, Vertex AI와 연동해 접속 제어와 보안을 강화한다.

  • 개발 초기: API 키 사용 가능 (빠른 테스트용)

  • 운영 단계: Vertex AI로 전환, API 키 없이 안전하게 호출

  • 장점: 코드 변경 없이 보안 레벨 업그레이드 가능


5. 배포·운영 단계의 AI 지원

앱을 출시한 이후에도 AI는 유용하다.

  • Google Play 정책 준수 여부 사전 점검

  • 오류 보고서 분석 → 자동 코드 수정 제안

  • 다양한 디바이스 환경에서의 테스트 자동화

이로써 배포 후 유지보수 속도가 크게 단축될 수 있다.


6. 미래 앱: 에이전트와 멀티모달

앞으로의 앱은 단순한 기능 집합이 아니라, 사용자와 대화하고 행동하는 에이전트가 될 가능성이 높다.

  • 멀티모달 라이브 API: 텍스트·음성·이미지·영상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

  • Agent Development Kit(ADK): 자연어 지시만으로 동작하는 앱 내 에이전트 개발 가능

  • 활용 예시: 피트니스 앱이 기구를 인식해 사용자의 이전 기록을 안내, 쇼핑 앱이 화면 속 상품을 분석해 추천


7. 생성형 AI와 콘텐츠 경험

Veo3 같은 영상 생성 모델은 광고·영화·게임 등 다양한 영역을 재편할 잠재력이 있다.
앱 개발자는 이 기능을 UI로 포장해, 사용자가 버튼 한 번으로 고품질 콘텐츠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.

게임, 인터랙티브 스토리, 맞춤형 교육 앱 등 새로운 사용자 경험이 가능해진다.


8. 개발자에게 주는 메시지

  • 주니어: 새로운 툴과 기술 적응력이 강점, AI 활용 역량을 빠르게 쌓을 시기

  • 시니어: AI가 만든 코드의 결함을 보완하고, 경험 기반의 품질 확보 역할

  • 안드로이드 생태계는 이제 시작. AI는 무거운 ‘숙제’를 대신하고, 개발자는 창의적 영역에 집중 가능


마무리

Google I/O 2025는 안드로이드 개발의 AI 전환점을 보여줬다.
기획부터 배포까지 이어지는 전 과정이 AI로 재구성되고 있으며,
온디바이스·에이전트·멀티모달 기술은 개발자와 사용자의 경험을 모두 확장시킬 것이다.

이제 중요한 것은 도구를 아는 것이 아니라, 그 도구로 무엇을 만들지 상상하는 능력이다.


📌 출처: AI Breakfast ‘Android Everywhere’ – Google I/O 2025 특별편
(내용은 필자의 해석과 재구성을 포함함)


Share article

code-with-me